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16:46
본문
Download : 직능급과 역할급 임금제도.hwp
1990년대 이후 일부 기업의 경우 직능자격제(직능급) 도입을 통해 능력 중심의 인사를 실현하려 했지만 직능 단계의 명확한 기준 구분 및 평가가 어려워 실제로 연공중심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제도가 effect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종업원의 직능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류되어 있어야 한다.
? 적용할 수 있는 직종이 제한적이다.
(2) 도입배경 - 승진정체현상/ 능력주의 인사관리 당위성 대두
(3) 전제조건
합리적인 직능등급 구분/ 종업원 능력평가의 체계화/ 직능자격제도에 대한 종업원의 수용도 증대
(4) 직능급의 유형
① 단일/병립 직능급
직능급과 다른 보상체계의 결합여부에 따른 분류. 연공급에서 직능급으로 전환할 때에는 통상 직능급과 연공급을 혼합하여 운영하면서 차츰 연공의 요소를 줄여 나감.
② 직능등급별/ 능력평점별 직능급
직능등급별 직능급 : 몇 개의 자격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마다 임금률을 정하여 실시.
능력평점별 직능급 : 각 개인별로 직능고과에 대한 평점을 산출하여 임금률이 정해지는 직능급.
(5) 장단점
① 長點
능력주의 임금관리 ...
직능급과 역할급 임금제도
1. 직능급
(1) 의의
종업원이 보유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임금액을 결정하는 제도이다.
이는 직능급에서 직무급으로 가는 중간의 과도기적…(skip)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직능급과 역할급 임금제도.hwp( 70 )
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 , 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법학행정레포트 , 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
설명
다.
? 직무표준화가 전제되어야 적용이 가능하다.
직능급과,역할,급,임금제도,법학행정,레포트
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
순서
직능급과 역할 급 임금제도
직능급과 역할급 임금제도
1. 직능급
(1) 의의
종업원이 보유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임금액을 결정하는 제도이다.
2. 역할급(broad banding)
(1) 도입배경 및 의의
현재 우리나라 조직의 임금체계는 주로 사람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담당하는 일의 變化(변화) 없이도 승진이 이루어져 고직급 인력이 양산되고 이는 연공중심의 임금체계와 맞물려 고정 인건비 증가 부담을 가져왔다.
(2) 도입배경 - 승진정체현상/ 능력주의 인사관리 당위성 대두
(3) 전제조건
합리적인 직능등급 구분/ 종업원 능력평가의 체계화/ 직능자격제도에 대한 종업원의 수용도 증대
(4) 직능급의 유형
① 단일/병립 직능급
직능급과 다른 보상체계의 결합여부에 따른 분류. 연공급에서 직능급으로 전환할 때에는 통상 직능급과 연공급을 혼합하여 운영하면서 차츰 연공의 요소를 줄여 나감.
② 직능등급별/ 능력평점별 직능급
? 직능등급별 직능급 : 몇 개의 자격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마다 임금률을 정하여 실시.
? 능력평점별 직능급 : 각 개인별로 직능고과에 대한 평점을 산출하여 임금률이 정해지는 직능급.
(5) 장?단점
① 長點
? 능력주의 임금관리 실현
? 우수한 인재의 이적방지
? 종업원의 성장요구 충족기회 제공
? 승진정체 현상 완화
② 단점
? 초과능력이 바로 성과를 가져다주지 않기 때문에 임금부담이 가중된다된다. 이 제도가 effect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종업원의 직능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問題點)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역할 중심 임금체계(broad bandin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