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01:47
본문
Download :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hwp
3) 적법하게 구성되지 아니한 합의제 행정기관의 행위
판례도 징계위원회의 위원 중 제척사유에 해당하는 위원이 징계의결에 참여하여 행한 징계의결은 무효라고 한 바 있따 다만 일단 의결되어 행정행위로 외부에 표시되어 버린 경우에는 상대방의 신뢰보호와 법적 안정성을 위하여 유효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경우도 있따
4) 타기관의 필요적 협력을 결한 행위
법령이 국민의 권익보호 또는 행정이 타당성을 기하기 위하여 다른 기관의 의결?승인 등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 이들 필요적 협력을 결한 행위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다.레포트/법학행정
순서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
행정법상,행정행위,무효,법학행정,레포트
행정행위의 무효에 관한 법적 검토
I. 행정행위 무효의 의의
행정행위의 무효란 외관상으로는 행정행위가 존재하지만,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로 인하여 처음부터 당연히 아무런 효력을 발생하지 못하지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2) 행정기관의 의사에 결함이 있는 행위
1) 의사능력 없는 자의 행위
2) 행위능력 없는 자의 행위
임명행위 자체도 무효이고 따라서 이들의 행위도 무효라고 할 것이나 사실상의 공무원 理論(이론)에 따라서 유효한 것으로 취급되는 …(skip)
설명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 ,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법학행정레포트 , 행정법상 행정행위 무효



Download :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hwp( 88 )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무효
다.
3) 적법하게 구성되지 아니한 합의제 행정기관의 행위
판례도 징계위원회의 위원 중 제척사유에 해당하는 위원이 징계의결에 참여하여...
행정행위의 무효에 관한 법적 검토
I. 행정행위 무효의 의의
행정행위의 무효란 외관상으로는 행정행위가 존재하지만,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로 인하여 처음부터 당연히 아무런 효력을 발생하지 못하지 것을 의미한다.
II. 무효原因
1. 주체에 관한 하자
(1) 정당한 권한이 없는 행정기관의 행위
1) 공무원이 아닌 자의 행위
선의의 상대방의 신뢰보호와 법적 안정성을 위하여 사실상의 공무원理論(이론)에 따라 무효가 아님은 물론 취소도 할 수 없도록 하여 완전히 유효한 것으로 취급할 경우도 있따
2) 대리권 없는 자의 행위
민법상의 표견대리의 법리에 따라 상대방이 정당한 대리권을 가진 공무원의 행위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유효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행위의 신중과 내용의 타당성 도모만을 위하여 인정된 경우에는 효력에 아무런 影響(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 행정기관의 권한 외의 행위
행정기권의 권한에는 사항적?지역적?대인적 한계가 있는데 이들 한계를 넘어서 행사된 행위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다.
II. 무효原因
1. 주체에 관한 하자
(1) 정당한 권한이 없는 행정기관의 행위
1) 공무원이 아닌 자의 행위
선의의 상대방의 신뢰보호와 법적 안정성을 위하여 사실상의 공무원理論(이론)에 따라 무효가 아님은 물론 취소도 할 수 없도록 하여 완전히 유효한 것으로 취급할 경우도 있따
2) 대리권 없는 자의 행위
민법상의 표견대리의 법리에 따라 상대방이 정당한 대리권을 가진 공무원의 행위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유효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