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고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3:17
본문
Download : 인사고과.doc
이는 측정(測定) 도구 내용에 대한 타당성 문제로서 그 내용의 대표성 또는 표본의 적합성의 문제이다.
또 하나는 예측 타당성(predictive validity)으로서 측정(測定) 도구에 의한 측정(測定) 결과가 대상의 현재상태를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이 외 다른 관점이 있지만 이 두 가지를 중점으로 한솔교육의…(skip)
,경영경제,레포트
인사고과
설명
인사고과 , 인사고과경영경제레포트 ,
인사고과
레포트/경영경제






다. 즉, 측정(測定) 도구의 구성내용이 측정(測定) 대상의 속성을 제대로 대표할 수 있으며, 또 그 대상속성에 대한 적절한 표본이 있느냐는 문제이다.
순서
Download : 인사고과.doc( 27 )
I. 개 요
1. 한솔교육에 대해
2. 한솔교육 事例를 선택한 이유
3. 한솔교육 인사고Task 도 – Meritive System, 총점배분제
4. 논점
II. 타당성
1. 타당성의 의미
2. 총점배분제의 타당성 analysis(분석)
3. 事例 비교
4. 타당성 제고 measure(방안)
III. 신뢰성
1. 신뢰성의 의미
2. 총점배분제의 신뢰성 analysis(분석)
3. 신뢰성 제고 measure(방안)
IV. 수용성
1. 수용성의 의미
2. 총점배분제의 수용성 analysis(분석)
V. 실용성
1. 실용성의 의미
2. 目標(목표)관리법의 실용성 analysis(분석)
3. 총점배분제의 실용성 analysis(분석)
VI. 결 론
1. 요약
2. 종언
* 참고
II. 타당성
1. 타당성의 의미
인사평가에서의 타당성은 간단히 말해서 평가내용이 평가목적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인사평가의 ‘타당성’이란 관점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째는 내용타당성 (content-validity)이다. 교육 훈련 및 기업의 인력 공급 예측의 판단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서 인사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피평가자의 잠재능력, 성과, 적성 그리고 작업행동 모두가 평가내용이 되어야 한다. 기업이 인사평가의 목적을 종업원에 대한 승진 의사결정을 위한 활용에 둔다면 승진 후보자의 잠재능력과 적성이 주요한 평가내용이 되어야 하고, 임금을 결정하기 위한 인사 평가기준은 피평가자의 성과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