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수화 및 유동성에 미치는 시멘트 재료적 effect(영향) 인자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8:47
본문
Download : 초기수화 및 유동성에 미치는 시멘트 재료적 영향인자 검토.hwp
초결의 경우, C-2시멘트(C3A 8.30%)가 C-3시멘트(C3A 9.16%)보다 C3A함량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초결이 다소 빠르게 진행된 것은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C-2시멘트내의 고용 SO3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음으로 인해 Total SO3 기준으로 첨가되어지는 석고 첨가량이 C-3시멘트에 첨가되어지는 석고 첨가량보다 적게 첨가되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클링커에 고용된 SO3함량이 증가될 경우, 실공정에서는 Total SO3를 기준으로 석고 첨가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석고첨가량은 적게 되며, 이로 인한 빠른 응결시간 및 유동성 저하의 原因이 된다 따라서 클링커내의 C3A함량 증가 및 클링커 고용 SO3 함량이 증가될 경우…(To be continued )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초기수화 및 유동성에 미치는 시멘트 재료적 effect(영향) 인자 검토
A-77
A-77 , 초기수화 및 유동성에 미치는 시멘트 재료적 영향인자 검토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초기수화 및 유동성에 미치는 시멘트 재료적 영향인자 검토.hwp( 35 )
다.
그림2. 시멘트 C3A 함량에 따른 응결시간 alteration(변화)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C3A함량이 증가될수록 초결은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결에는 큰 影響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1. 클링커 광물조성비의 影響
시멘트 클링커 광물중 시멘트 페이스트의 초기 유동성에 많은 影響을 미칠 수 있는 C3A 함량alteration(변화) 에 따른 물성alteration(변화) 를 살펴보고자 표1의 시료를 이용하여 응결시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2에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