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6:20
본문
Download :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hwp
전두엽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가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구분과 관련되어 있다 주제어 기억체계, 의미기억, 일화기억 연구 세부 분야 인지심리학, 기억 Abstract The distinction between short-term store (STS) and long-term store (LTS) has been made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Memory system theorists have argued that memory could be conceived as multiple memory systems beyond the concept of a single LTS. Popular memory system models are Schacter & Tulving (1994)‘s multiple memory systems and Squir...
레포트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Is it necessary to ...
다. 기억체계 이론(理論)은 기억이 정보처리 이론(理論)에서 가정하는 하나의 장기기억이 아닌 중다기억 체계로 기억이 조직화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기억체계 이론(理論)으로는 Schacter와 Tulving의 기억모형(1994)과 Squire의 장기기억 분류 모형(1987)이 있다 두 모형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구분, 기억장애에 보존된 암묵기억 수행에는 견해가 일치하지만, 기억장애가 일화기억만의 손상인지 아니면 의미기억을 포함하는지는 견해가 다르다. 그러나 현재의 data(자료)로서는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구분이 더 정확한 설명인가 아니면 서술기억과 비서술기억의 구분이 더 나은 설명인가는 분명하지 않다.
레포트 > 기타
[리포트]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의 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Is it necessary to ...
Download :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hwp( 68 )
설명
순서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Is it necessary to distinguish semantic memory from episodic memory 이 정 모 박 희 경 (Jung-Mo Lee) (Heekyeong Park) 요 약 정보처리 이론(理論)은 기억을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