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em (레퀴엠 ; 진혼곡)에 관한 기본적인 정의(定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03:20
본문
Download : Requiem (레퀴엠 ; 진혼곡)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hwp
,기타,레포트
Download : Requiem (레퀴엠 ; 진혼곡)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hwp( 99 )
레포트/기타
순서
설명
Requiem (레퀴엠 ; 진혼곡)에 관한 기본적인 정의(定義)
%EC%97%90%20%EA%B4%80%ED%95%9C%20%EA%B8%B0%EB%B3%B8%EC%A0%81%EC%9D%B8%20%EA%B0%9C%EB%85%90_hwp_01.gif)
%EC%97%90%20%EA%B4%80%ED%95%9C%20%EA%B8%B0%EB%B3%B8%EC%A0%81%EC%9D%B8%20%EA%B0%9C%EB%85%90_hwp_02.gif)
%EC%97%90%20%EA%B4%80%ED%95%9C%20%EA%B8%B0%EB%B3%B8%EC%A0%81%EC%9D%B8%20%EA%B0%9C%EB%85%90_hwp_03.gif)
%EC%97%90%20%EA%B4%80%ED%95%9C%20%EA%B8%B0%EB%B3%B8%EC%A0%81%EC%9D%B8%20%EA%B0%9C%EB%85%90_hwp_04.gif)
I. 들어가며...
II. Requiem에 관한 기본적인 槪念.
III. Wolfgang Amadeus Mozart의 Requiem K.626과
Johannes Brahms의 Ein Deutsches Requiem op.45
IV. 죽음, 그리고 구원...
우리나라 말로는 진혼곡이라고 번역되는 Requiem이란 <사자(死者)를 위한 미사곡>, <진혼 미사곡>을 가리키는 것이다.
카톨릭의 종교음악 중에서 레퀴엠(Requiem : 진혼곡)을 -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 1759 ~ 1791)의 작품인 Requiem K.626과 브람스(Johannes Brahms : 1833 ~ 1897)의 작품인 Ein Deutsches Requiem op.45 를 예로 하여 서양의 카톨릭 종교음악레퀴엠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1.입당송
2. 키리에(연민의 찬가)
3. 층계송
4. 연송(영창)
5. 부속가
6. 봉헌송
7. 상투스
8. 아뉴스 데이
9. 영성체송
이상의 예문들 가운데 2, 7, 8번은 보통의 미사에서도 쓰여지는 통상문에 해당하며 나머지는 고유문이다. , Requiem (레퀴엠 ; 진혼곡)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기타레포트 ,
다. 따라서 Requiem에서는 일반미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gloria(영광의 찬가)”, “credo(신앙선언)”, 또는 “hallelujah(할렐루야)”같은 기쁨의 표현을 갖는 예문은 쓰지 않는 것이 관례가 되어 있따 그런가 하면 “Tractus(영창)”같은 예문은 사순절 미사와 같은 내용으로서 “죽은 모든 자의 영혼을 온갖 죄의 사슬에서 풀어 주소서”라고 간절히 기구하게 되며, 부속가인 “Dies irae(진노의 날)”은 Requiem에만 사용되는 독특하고 긴 예문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따 이러한 Requiem의 작곡에 있어서는 반드시 9개 부분으로 구분되기보다는 작곡가에 따라서 가감되는 경우가 더 흔하게 발견되고 있으며, 한 개의 예문을 두개…(To be continued )
카톨릭의 종교음악 중에서 레퀴엠(Requiem : 진혼곡)을 -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 1759 ~ 1791)의 작품인 Requiem K.626과 브람스(Johannes Brahms : 1833 ~ 1897)의 작품인 Ein Deutsches Requiem op.45 를 예로 하여 서양의 카톨릭 종교음악레퀴엠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이 Requiem 미사는 매년 11월 2일에 전 교회가 동시에 올리는 “만령절 레퀴엠”을 비롯하여 죽은 자의 기념일, 혹은 전몰 용사를 위한 기념 미사, 죽은 자의 제일에 올리는 것을 관례로 삼고 있따
그리고, Requiem의 전례문은 일반 미사의 기본 순서에 일부 고유문이 첨가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는데 대체로 전통적인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런 곡들이 굳이 Requiem이라고 불리위지고 있는 이유는 그것의 입당송 첫귀절이 “Requiem aesternam dona eis Domine(주여, 그들에게 안식을 주소서)”로 처음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따 즉, 죽은 사람의 영혼이 하느님 나라의 영접을 받을 수 있도록 살아 있는 사람들이 모여 미사를 드리는 예전인 카톨릭 교회의 진혼 미사에서 쓰이는 곡인 것이다.